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9)
DSR / DTI / LTV 대출관련 용어를 알아보자 1. DSR개인 소득 대비 모든 금융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이다.이해하기 쉽게 내가 벌어들이는 소득에 대출상환을 얼마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가에 대한 지표이다. DSR 공식= (연간 총 원리금 상환액 / 연 소득) X 100 연간 총 원리금 상환액은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 모든 금융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을 포함한다. DSR 규제 기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DSR 규제를 강화하는데 무리한 부채를 지는 것을 막기 위해 DSR을 일정 비율 이하로 유지하도록 규제한다. 스트레스 DSR이라는 것을 도입했다. 2021년도에 처음으로 스트레스 DSR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고, 그 후로도 꾸준히 적용하고 있다. DSR 단계별 도입시긴 1단계2단계3단계시행시기..
집들이 선물하기 좋은 TOP 3[쓰레기통, 짧은 와인, 편수냄비 + 면기] 제목은 집들이 하기 좋은 선물이지만 사실은 내가 이사를 간다면 받으면 좋겠다는 선물이다!!! 1. 자동센서쓰레기통 혹은 스마트 쓰레기통 쓰레기통은 일단 무조건 써야하는 물건 중에 하나이다. 그렇다면 편리함과 위생을 중시하는 자동센서쓰레기통 혹은 스마트 쓰레기통이 어떠한가!! 장점으로는 일단 손을 대지 않고 센서로 문이 열리니 편리하다.디자인도 요즘 보면 되게 예쁘게 많이 보인다.매일 쓰레기통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대신에 크기가 여러가지라 주방용으로 쓸것인지 거실용으로 쓸것인지 화장실에 쓸것인지에 따라 10~30L이상까지 다양한 사이즈가 있으므로 참고해서 사주면 좋겠다. 리필 봉투가 저절로 되는 것이 있고 없는 것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그냥 종량제봉투를 써서 사용할 수 있는 쓰레..
전세가율에 따른 의미[전세가율이 높으면? 낮으면?] 전세가율이란? 전세가율 = (전세가격 / 매매가격 )* 100 으로 매매가 대비 전세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전세가율이 높다는 것은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가까운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전세가율이 높을 땐 대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까? 1.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작다. 즉 집을 매수하는 것과 전세로 사는 것의 비용차이가 적다.예를 들면 매매가가 5억이고 전세가가 4.5억일 경우 전세가율은 90% 2. 매매수요증가가능성 매매가와 전세가가 얼마 차이 나지 않다면 오히려 조금만 더 보태서 더 이상 이사 다니지 말고 안정성을 찾자며매매를 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부동산가격이 상승할 수도 있다. 3. 갭투자 유리 전세가율이 높으면 적은 자본으로 집을 사고 전세를 놓는 갭투자가 쉬..